이커머스 트렌드 아티클을
주 1회마다 보내드려요
- * 무료 구독, 언제든 구독을 취소할 수 있어요.
- * [구독하기] 버튼을 누르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방침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돼요.
지금 가입하면 오늘 정산 받을 수 있는 쇼핑몰 선정산 서비스 올라|지금 2만 여명의 사장님이 올라선정산으로 자금을 관리하고 있어요
2024.01.01
2024년이 밝았습니다! ☺️ 다들 이번 새해에는 어떤 걸 목표로 정하셨나요~?
최근 잡플래닛의 연말결산 리포트에 따르면 ‘2023년 가장 후회되는 일’로 자기 계발 등 “갓생”을 살지 못했다는 답변을 택하신 분이 많았다고 해요!
2024년 새해인 만큼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유익한 이커머스 이슈들이 가득한 올라레터와 함께 “갓생” 시작해 보실까요?!
2024년 첫번째 이커머스 이슈들을 모은 올라레터 지금 시작합니다!
[이번 주 주요 이슈 요약]
1. 거래액 1조 돌파? 29CM, 경쟁사 W컨셉을 이길 수 있었던 전략은?
2. 온라인, 오프라인은 현재 ‘PB상품’ 전쟁 중
3. ‘중간’이 없어진 요즘 소비 트렌드
최근 무신사로부터 인수된 셀렉트샵 ‘29CM’가 2024년에는 거래액 1조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29CM는 2019년까지는 적자를 기록하다 2020년에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지금까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패션 온라인몰인데요. 특히 라이프스타일에서 패션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투자를 이어 나가면서 2024년에는 경쟁사인 W컨셉와 격차를 더 벌린다는 전략입니다.
올해 큰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 브랜드 큐레이션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가장 큰데요.
1) 29CM 타깃인 2539의 취향을 집중적으로 공략
2)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선보였던 프리미엄 리빙 브랜드 온라인 구매로 확장
3) 다양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으로 디자이너 브랜드의 인지도와 호감도를 높임
특히 여성 잡화 카테고리가 22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하였고 그 중 주얼리 품목의 거래액이 2배 이상 크게 상승했습니다.
또한 어그부츠, 바라클라바, 장갑, 목도리 워머 등의 시즌성 아이템도 매출액의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타깃에 집중된 브랜드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다시 한번 느끼게 되는 분석입니다!?
혹시 지금 스토어를 운영 중이시면 자신의 스토어의 타깃은 누구인가요?! 그 타깃은 어떤 걸 좋아하나요❓
고물가에 ‘가성비’를 따지는 알뜰 소비가 확산하면서 유통 업계 역시 너도 나도 PB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티몬은 최근 식품 전문 PB ‘베리밸류’를 론칭하고 첫 상품으로 캡슐커피를 출시했고, 인터파크 쇼핑 역시 첫 PB ‘아이팝’ 운영을 시작했죠
쿠팡의 PB상품이 시장 점유율을 점차 차지하게 되면서 다른 E-커머스 경쟁사도 질세라 바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죠.
티몬의 PB 브랜드 ‘베리밸류’ 커피캡슐
가격경쟁력으로 승부하는 PB상품은 평균 단가가 저렴한 편의점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편의점은 작년 한 해 무려 700여개의 PB 신상품을 쏟아냈다고 합니다!
심지어 GS25는 주 소비층인 1~2인 가구인 점을 고려해 용량을 줄여 가격을 더 낮추거나 슈퍼마켓에서 소싱한 신선식품을 편의점에서도 판매하는 식으로 판로를 넓히고 구매 단가를 낮추는 전략을 선보이고 있죠!
파워팰리스점 CU 편의점 내 전시되어있는 ‘컬리’ PB상품
이 외에도 계열사들끼리의 협업 뿐 아니라 이커머스와도 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컬리 특화 편의점을 오픈한 타워팰리스점 CU는 공동으로 월별 프로모션 운영은 물론, 전용 할인 쿠폰을 제공하고 모바일 주류 예약 구매 서비스 ‘CU 바(BAR)’를 컬리 앱에도 도입하면서 앞으로 더욱더 PB상품 공동소싱이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롯데홈쇼핑이 2023년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가 프리미엄 상품과 저렴한 가성비 상품에 수요가 몰리는 ‘중간 실종’ 소비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해외여행 상담과 같은 고가 상품 주문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하고
반면 필수 생필품인 욕실용품 주문 건수는 80% 증가했지만 평균 판매가는 10% 감소하는 등 가성비 수요가 높은 걸로 보여지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소비자들을 ‘앰비슈머’ (Ambisumer)' 라고 하는데요!
비용이 한정된 상황에서 고가 상품에 투자한 만큼 일상생활에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자를 뜻합니다.
최근 많이 거론되고 있는 ‘체리슈머’에 이은 ‘앰비슈머’!
요즘 소비 트렌드는 확실히 가성비가 중요한 걸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체리슈머’란? 소비에 있어 극한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전략적이고 계획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
참조) 2024 트렌트 코리아/ '그립' 2024 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오늘의 이커머스 이슈, 어떠셨나요? 올라핀테크 공식 블로그에서는사장님들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발행될 예정이에요.
📬 위 콘텐츠가 흥미로웠다면? 이것도 추천드립니다!
사장님들의 매출 상승을 도와드리는 '올라 선정산'이 궁금하다면?